한 여성이 줄자로 엉덩이둘레를 재고 있다. 비만도는 키와 체중을 공식에 대입하는 BMI로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반박불가! 쉬운 비만도 체크법

팩트 체크!

허리둘레부터 BMI, 스킨폴드 방법까지. 비만도 체크는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세계보건기구
한 여성이 줄자로 엉덩이둘레를 재고 있다. 비만도는 키와 체중을 공식에 대입하는 BMI로 쉽게 측정할 수 있다.

가장 은밀한 비밀, 남에게 절대 알려주고 싶지 않은 것, 체중! 비만이 될까 봐 걱정만 하지 말고 직접 체크하자.

가장 널리 쓰이는 BMI를 비롯해 허리둘레, 체지방률, 혈액 검사와 같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 하나의 검사에만 의존하지 말고 여러 방법을 사용해 ‘더블 체크’ 해보자

BMI : 체질량지수 

BMI는 키와 체중만 있으면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이다.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엔 한계가 있지만 모든 의료 환경에서 편리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인식해 일반적으로도 가장 흔히 활용된다. 

– BMI= 체중(kg) / (키(m)× 키(m))

허리가 커진 바지를 입고 기뻐하는 여자 일러스트. 허리둘레는 복부 비만을 확인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허리둘레

허리둘레는 복부 비만을 판단하는 기준이다.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에 따르면 건강한 허리둘레-키 비율은 0.4~0.49다. 비율이 0.5~0.59라면 건강 문제의 위험이 증가하며 0.6 이상이면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복부에 체지방이 많으면, 만성 질환의 위험이 더 커진다고 본다. 복부 비만인 경우 복부 비만, 고혈압, 공복혈당장애, 고중성지방, 낮은 HDL콜레스테롤 등을 조심해야 한다. 이 질환으로 인해 심뇌혈관의 질환 위험이 커지고 다른 만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올바르게 허리둘레 재는 법(WHO 기준)

1. 양발 간격을 25~30cm 정도 벌리고 서서 체중을 균등히 분배시킨다.
2. 숨을 편안히 내쉰 상태에서 측정한다.
3. 측정 위치는 배꼽 위로 갈비뼈 가장 아래와 골반의 가장 윗부분(장골능)의 중간 부분이다.
4. 측정 시에는 너무 조이거나 느슨하지 않도록 하여 mm 단위까지 측정한다.

사람보다 큰 계산기와 그 앞에 여성이 서 있는 일러스트. 허리와 엉덩이둘레로 나의 건강 상태를 계산할 수 있다.

허리 대 엉덩이 비율(WHR) 

WHR은 지방 분포를 평가하는 빠르고 쉬운 방법 중 하나로, 전반적인 건강 위험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WHR은 허리와 엉덩이의 크기를 줄자로 재고, 허리둘레를 엉덩이둘레로 나누어 구한다. 

– WHR 측정 방법

1. 허리둘레 측정 : 배꼽 근처 또는 바로 위의 가장 좁은 복부 부분을 잰다.
2. 엉덩이 측정 : 골반만큼 다리를 벌려, 엉덩이와 엉덩이의 가장 넓은 부분을 잰다. 
3. 허리둘레를 엉덩이둘레로 나눈다.

한 여성이 스킨폴드 캘리퍼로 복부지방률을 측정하고 있다.

체지방률 – 스킨폴드 방법

피하지방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체지방률이란, 체중에서 체지방 무게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체중이 동일할 경우, 근육이 많을수록, 뼈대가 굵을수록 체지방률은 낮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고, 비만일수록 높다. 

의료기관 검사 

의료기관 검사는 만성 질환 위험을 확인할 수 있는 혈액 검사, 혈관 검사, 심전도 검사 등을 포함한다. 비만도 자체를 알아보는 것은 아니지만, 비만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질환과 연관된 심혈관계 질환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healthline / NCBI / NICE / verywellfit